맨위로가기

독일 국가인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국가인민당(DNVP)은 1918년 독일 제국 붕괴 후 결성된 보수 정당으로, 반(反)바이마르 공화국, 군주주의, 배상금 반대 등의 입장을 표명했다. 초기에는 유대인 배척, '배후 중상설' 주장 등 극우적 성향을 보였으며, 1920년 카프 폭동에 연루되기도 했다. 1924년 도스 안 통과를 계기로 중도 노선으로 전환하여 연립 정부에 참여했으나, 1928년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의 당수 취임 이후 나치당과의 협력을 통해 공화국에 대한 반대 노선을 강화했다. 1933년 히틀러 내각에 참여했으나, 권력 투쟁에서 밀려 1933년 6월 자진 해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군주주의 정당 - 독일 인민당
    독일 인민당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국민자유당 해산 후 구스타프 슈트레제만이 결성한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자유주의 정당으로, 공화국에 반대하다 슈트레제만 내각을 이끌며 협력했지만, 슈트레제만 사후 우경화되어 나치당 집권 후 해산되었고, 전후 자유민주당 창설에 참여했다.
  • 독일 국가인민당 당원 -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독일의 기업인이자 정치가로서, 범게르만 연맹 공동 설립자이자 독일 국가인민당 당수를 역임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우익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고, 히틀러 내각에서 경제 및 농업 장관을 지냈으나 팽창주의적 야망으로 실각했다.
  • 독일 국가인민당 당원 - 발터 부흐
    발터 부흐는 독일 제국의 판사 아들로 나치당 최고재판장, 친위대 명예지도자 등을 역임하며 당내 분쟁 조정, 반유대주의 활동을 펼치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살했다.
  • 독일의 보수주의 정당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독일 바이에른 주에서 활동하며, 기독교민주연합(CDU)의 자매 정당으로 연방 차원에서 CDU/CSU 연합 의원단을 구성하며, 바이에른 주 정부를 이끌어왔다.
  • 독일의 보수주의 정당 - 독일을 위한 대안
    독일을 위한 대안은 2013년 유로존 위기 비판을 내세워 창당된 독일 정당으로, 초기 경제 자유주의에서 2015년 이후 반이민, 반이슬람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변모하여 연방의회에 진입, 지지율을 높여왔으나 극우 논란으로 헌법수호청의 감시 대상이다.
독일 국가인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독일 국가인민당 로고
로고
공식 명칭독일 국가인민당
원어 명칭Deutschnationale Volkspartei
기타 명칭Deutsche Nationale Front (1933년)
약칭DNVP
창당일1918년 11월 24일
해산일1933년 6월 27일
합병 대상독일 보수당
자유 보수당
독일 조국당
도이치푈키셰당
기독교 사회당
국민 자유당
후신 정당해당 없음
청소년 조직비스마르크 청년단
준군사 조직캄프슈타펠른 (1931년부터)
언론 그룹후겐베르크 그룹
여성 조직루이제 여왕 연맹 (비공식)
당원 수950,000명 (1923년 중반 추정)
정치 성향우익 ~ 극우
이념독일 민족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군주제
반동주의
반공주의
반유대주의
종교개신교
정치 연합영 플랜 반대 캠페인 (1929년)
하르츠부르크 전선 (1931년)
선거 연합캄프프론트 슈바르츠-바이스-로트 (1933년)
상징색검정, 하양, 빨강, 파랑 (관례)
국기[[파일:Flag of the German Empire.svg|독일 제국기]]
국가독일
지도부
의장오스카 헬크트 (1919-1924)
요한 빙클러 (1924-1926)
쿠노 폰 베스터프 (1926-1928)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1928-1933)
역사적 맥락
전신 정당독일 보수당
자유 보수당
독일 조국당
국민자유당 우파
이념적 기반푈키슈
주요 지지 기반융커
정치적 입장
반대바이마르 헌법
베르사유 조약
의회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지향제정 복고
해산 이후
후계 정당독일 우익당
독일당
관련 항목
관련 항목독일 국가민주당 (현존하는 극우 정당)

2. 역사

앞에서부터 후겐베르크 당수, 파펜 (전 총리), 젤테 (철모단 공동 대표)의 옆모습]]

DNVP는 나치당의 일당 독재를 위한 수권법에 찬성했고, 1933년 6월 당이 해산된 후 많은 당원이 나치당으로 흡수되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18-1924)

1918년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붕괴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된 직후, 독일 국가인민당(DNVP)은 독일 보수당, 자유 보수당 등 구 제국의 보수 정당들과 국민자유당 우파, 독일 조국당, 기독교 사회당 등 우익 세력을 결집하여 창당되었다.[36] 창당 과정은 1918년 11월 22일 여러 베를린 신문에 "독일 국민당"이라는 이름을 제안하는 새로운 우익 정당 창당을 요구하는 광고가 게재되면서 시작되었다.[37]

창당 초기부터 DNVP는 반유대주의를 강령으로 내세워 유대인의 당 가입을 금지했으며,[44] 1919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는 "유대인은 독일의 흡혈귀!"라는 선동적인 구호를 사용했다.[45]

DNVP는 바이마르 헌법에 적대적이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패배의 책임을 사회주의자들에게 돌리는 '배후 중상설'을 주장하며 좌파 정당들을 공격했다.

1920년 카프 폭동 당시 DNVP는 쿠데타 세력에 동조하면서도 연합국의 반응을 우려하여 모호한 입장을 취했다.[70] 폭동 실패 후, DNVP는 쿠데타 자체보다 "불법적인" 방법인 총파업에 의존하여 쿠데타를 물리친 것에 대해 정부를 비난했다.[72]

1922년 발터 라테나우 외무장관 암살 사건 당시, DNVP는 라테나우에 대한 격렬한 비난 캠페인을 벌여 암살을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73] 요제프 비르트 총리는 국회에서 DNVP의 카를 헬퍼리히에게 암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물었다.[73][75]

1923년 루르 점령과 초인플레이션 위기 상황에서 DNVP는 바이마르 공화국 타도를 목표로, 바이에른 주 정부와 한스 폰 젝트 장군을 중심으로 한 권위주의 독재 체제 수립을 지지했다.

1924년 5월 4일 국회 선거에서 DNVP는 득표율 19%를 기록하며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83]

2. 2. 중도 노선으로의 전환과 연립 정부 참여 (1924-1928)

1924년, 독일 국가인민당(DNVP)은 도스 안(Dawes Plan) 채택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을 겪었다. 도스 안은 독일의 배상금 지불을 재조정하는 방안이었는데, 이에 대한 찬반 논쟁으로 인해 오스카 헤르트 당수가 사임하고 쿠노 폰 베스타르프 백작이 후임 당수가 되었다.[96]

같은 해 두 차례의 총선에서 DNVP는 의석을 늘리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1924년 5월 4일 국회 선거에서는 19%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1924년 12월 7일 선거에서는 20.4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제2당이 되었다.

선거일득표득표율의석수 (총 의석수)의석 순위
1924년 5월 4일5,696,475표19.45%95석 (472석)제2당
1924년 12월 7일6,205,802표20.49%103석 (493석)제2당



1925년, DNVP는 한스 루터 내각에 참여하면서 처음으로 연립 여당이 되었다.[97] 이들은 군주제 복고를 주장하면서도 현실 정치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전환했다. 같은 해 대통령 선거에서 DNVP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를 지지하여 당선시켰다.[101]

1926년, DNVP는 빌헬름 마르크스 내각에도 참여했으나, 로카르노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연립에서 탈퇴했다.[107]

1927년, 공화국 보호법 갱신 문제로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 법은 DNVP를 겨냥한 법이었지만, DNVP 지지자들은 군주제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법 갱신에 찬성하는 압력을 가했다.[111]

1920년대 후반, 농촌 지역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면서 DNVP의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다.[113]

2. 3. 후겐베르크 체제와 급진화 (1928-1933)

1928년 5월 총선에서 독일 국가인민당(DNVP)은 지지층 이탈로 큰 패배를 겪었다.[237] 그 책임을 물어 쿠노 폰 베스타르프 백작이 당수직에서 사임하고, 언론 재벌 알프레트 후겐베르크가 새 당수로 취임하면서 DNVP는 다시 강경 보수 노선으로 돌아섰다.[238] 후겐베르크는 제정 복고보다는 '국가 본위의 공화주의'를 주장하며, 젊은 층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238]

후겐베르크 체제에서 DNVP는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반정부 투쟁을 격화시켰다. 1929년 6월, 독일의 새로운 배상금 지불 방식인 영 안이 성립되자 후겐베르크는 격렬하게 반대했다. 그는 나치당, 철모단 등과 함께 '전국위원회'를 결성하고, Volksentscheid gegen den Young-Plan|영 안 반대 국민투표|독일 국민 노예화 저지 법안de 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추진했다.[239] 그러나 이 법안에는 영 안을 지지한 공무원을 처벌하는 조항이 있었고, 힌덴부르크 대통령도 그 대상에 포함되어 당내 친정부파와 반정부파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39]

후겐베르크의 타협 없는 반정부 투쟁은 힌덴부르크 대통령과 하인리히 브뤼닝 총리의 불만을 샀다. 정부는 후겐베르크를 고립시키려 했으나, 그의 막강한 언론 영향력 때문에 실패했다. 결국 베스타르프 등 친정부파는 1930년 7월 Konservative Volkspartei|보수 인민당|보수 인민당 (독일)de을 결성하여 탈당했다.[239]

1931년 10월, DNVP는 나치당, 철모단 등과 함께 하르츠부르크 전선을 구축하여 브뤼닝 내각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그러나 이는 DNVP의 당세 회복을 위한 의도가 컸기 때문에 히틀러의 반발을 샀고, 곧 나치당은 이 공투 관계에서 벗어났다.[240]

1932년 6월 브뤼닝 내각 붕괴 후 프란츠 폰 파펜 내각이 들어섰지만, DNVP는 이 내각과 관계가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쿠르트 폰 슐라이허 내각 성립 후, 파펜의 중재로 나치당과 다시 제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1933년 1월 27일 후겐베르크와 히틀러의 회담에서 나치당과 DNVP의 연립에 의한 히틀러 내각 수립이 합의되었다.[212]

국민의회 및 국회에서 독일 국가인민당의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선거일득표득표율의석수 (총 의석수)의석 순위
1919년 1월 19일3,121,479표10.27%44석 (421석)제4당
1920년 6월 6일4,249,100표15.07%71석 (459석)제3당
1924년 5월 4일5,696,475표19.45%95석 (472석)제2당
1924년 12월 7일6,205,802표20.49%103석 (493석)제2당
1928년 5월 20일4,381,563표14.25%73석 (491석)제2당
1930년 9월 14일2,457,686표7.03%41석 (577석)제5당
1932년 7월 31일2,178,024표5.91%37석 (608석)제5당
1932년 11월 6일2,959,053표8.34%51석 (584석)제5당
1933년 3월 5일3,136,760표7.97%52석 (647석)제5당
출처: [http://www.gonschior.de/weimar/Deutschland/Uebersicht_RTW.html Gonschior.de]


2. 4. 히틀러 내각 참여와 해산 (1933)

1933년 1월, 프란츠 폰 파펜의 중재로 아돌프 히틀러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협상을 통해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과 독일 국가인민당(DNVP)의 연립 정부 구성에 합의했다.[187] 1933년 1월 30일, 히틀러 내각이 출범하면서 후겐베르크는 경제 및 농업 장관으로 입각했다.[191] 그러나 히틀러는 처음부터 DNVP를 견제하며 권력을 독점하려 했다.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이후, 후겐베르크는 "엄격한 조치"와 "볼셰비즘이 번성할 수 있는 온상 근절"의 필요성에 대해 연설했다.[191] 그는 "이 엄숙한 시대에는 더 이상 어중간한 조치...타협도, 비겁함도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192] 내각 회의에서 후겐베르크는 다른 DNVP 내각 장관들과 함께 사실상 시민의 자유를 파괴한 국회의사당 방화령에 찬성표를 던졌다.[192]

1933년 3월 총선에서 DNVP는 '흑백적' 선거 연합을 결성하여 참여했으나,[240] 나치당의 압승을 막지 못했다. 전권 위임법 통과 이후, DNVP는 나치당에게 더 이상 필요 없는 존재가 되었다.[195]

1933년 총선거 포스터. 앞에서부터 후겐베르크 당수, 파펜 (전 총리), 젤테 (철모단 공동 대표)의 옆모습


1933년 6월, 런던 경제 회의에서 후겐베르크의 외교적 실책을 계기로[207] 나치당은 DNVP를 압박했고, 결국 DNVP는 자진 해산했다.[216] 해산 이후, 일부 당원들은 나치당에 합류했고,[217] 일부는 나치 정권에 협력하거나 저항 운동에 참여했다.

3. 역대 당수

이름재직 기간
오스카르 헤르크트1918년 ~ 1924년 10월 23일
요한 프리드리히 빙클러1924년 ~ 1926년
쿠노 폰 베스타르프1926년 3월 24일 ~ 1928년 7월 8일
알프레트 후겐베르크1928년 10월 20일 ~ 1933년 6월 27일


참조

[1] 뉴스 Nazis Outlaw Nationalists As Rival Party 1933-06-28
[2] 서적 Fascism: A History Pimlico
[3] 서적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s Rechtsextremismus in der Bundesrepublik Westdeutscher Verlag
[4] 간행물 The Far-Right in Germany since 1945 Longman
[5] 서적 Die extreme Rechte in der Bundesrepublik: Entwicklung – Ursachen – Gegenmaßnahmen Westdeutscher Verlag
[6] 서적 Neo-Fascism in Europe Longman
[7] 서적 Die Parteien und die Presse der Parteien und Gewerkschaften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45–1974 Westdeutscher Verlag
[8] 서적 The Bismarck Myth: Weimar Germany and the Legacy of the Iron Chancellor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9] 서적 Elections, Mass Politics, and Social Change in Modern Germany: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German Historical Institute
[10] 서적
[11] PhD thesis The press of the Weimar Republic and its representation in German literature https://research-inf[...] University of Bristol 1996-09
[12] 서적 Who's Who in Nazi Germany
[13] 서적 Das "System Hugenberg". Die Organisation bürgerlicher Sammlungspolitik vor dem Aufstieg der NSDAP Deutsche Verlags-Anstalt
[14] 서적 The Rise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Working Classes in Weimar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5] 서적 Popular Sovereignty and the Crisis of German Constitutional Law: The Theory & Practice of Weimar Constitutionalism Duke University Press
[16] 서적 Citizenship and National Identity in Twentieth-Century Germany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18] 웹사이트 Volksbegehren und Volksentscheid gegen den Youngplan, in: Archivnachrichten 35 / 2007 https://www.landesar[...] 2022-11-26
[19] 서적 Sweeping the German Nation: Domesticity and National Identity in Germany, 1870–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Europe Between the Wars: A Political History Pearson Education
[21] 서적 Genozid: Völkermord im 20. Jahrhundert: Geschichte, Theorien, Kontroversen C. H. Beck
[22] 서적 Adolf Hitler: a biographical companion ABC-CLIO
[23] 간행물 Social Stratification and 'Right-Wing Extremism' https://www.jstor.or[...]
[24] 서적 The Weimar Republic Sourcebook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서적 German National People's Party Progr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The Decline of the German Mandarins: The German Academic Community, 1890–1933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7]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Books
[28] 서적 The church struggle in Nazi Germany, 1933–34: Resistance, opposition, or compromise http://hdl.handle.ne[...] Texas Tech University Press
[29] 서적 Der Holocaust und die Protestanten: Analysen einer Verstrickung Athenäum Verlag
[30] 서적 DNVP: Right-wing opposition in the Weimar Republic, 1918–1924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1] 서적 Weimar Germany: Promise and Traged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Books
[33] 서적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Germany, 1914–1933: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Pearson Education
[35] 백과사전 Deutsche Vaterlandspartei (DVLP), 1917/18 https://www.historis[...]
[36] 서적 Germany: The Long Road West, 1789–1933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간행물 Ideology, Propaganda,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George Allen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2001-10
[48] 문서 2001-10
[49] 문서 2001-10
[50] 문서
[51] 간행물 The Spirit of 191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문서
[53] 학술지 That All May Be One? Church Unity and the German National Idea, 1866–1883 and Challenge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6
[54] 학술지 Apostasy or Religiosity?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Protestant Vote for Hitler http://www.jstor.org[...] Taylor & Francis, Ltd 2022-08-25
[55] 서적 Hitler versus Hindenburg: The 1932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e End of the Weimar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56] 학술지 The German Nationalist People's Party: The Conservative Dilemma in the Weimar Republic SAGE 1979
[57] 서적 The German Right in the Weimar Republic: Studies in the History of German Conservatism, Nationalism, and Antisemitism Berghahn Books 2014
[58] 서적 Hitler versus Hindenburg: The 1932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e End of the Weimar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59] 서적 The German Right in the Weimar Republic: Studies in the History of German Conservatism, Nationalism, and Antisemitism Berghahn Books 2014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2001-10
[63] 문서 2001
[64] 서적 The Wehrmacht: History, Myth, Re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문서 de:Reichsverband der Deutschen Industrie
[87] 문서 The government of the Deutsches Reich under the Weimar Constitution consisted of the president, chancellor and national ministers.
[88] 서적
[89] 서적 Tirpitz: Architect of the German High Seas Fleet Washington: Potomac Books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간행물 1992-01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Citation A history of Nazi Germany, 1919–1945 Burnham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간행물 2001-10
[103] 간행물 2001-10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2009
[107] 서적 2009
[108] 서적 1993
[109] 서적 1993
[110] 서적 2009
[111] 서적 2009
[112] 웹사이트 "[Erstes] Gesetz zum Schutze der Republik. Vom 21. Juli 1922 (full text in German)" http://www.documenta[...] 2023-09-14
[113] 서적 1993
[114] 서적 1998
[115] 서적 1998
[116] 서적 2005
[117] 서적 2009
[118] 서적 2009
[119] 서적 1977
[120] 서적 1977
[121] 서적 2009
[122] 서적 1982
[123] 서적 2009
[12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Weimar Democrac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6
[125] 서적 1977
[126] 서적 1993
[127] 서적 1967
[128] 서적 2009
[129] 서적 2009
[130] 서적 1977
[131] 간행물 2009-05
[132] 간행물 1992-01
[133] 서적 1977
[134] 서적 1982
[135] 서적 2009
[136] 간행물 2009-05
[137] 서적 1982
[138] 서적 1977
[139] 서적 1982
[140] 서적 1960
[141] 서적 2003
[142] 서적 1982
[143] 서적 1982
[144] 서적 1987
[145] 서적 1987
[146] 서적 1987
[147] 서적 1982
[148] 서적 1982
[149] 서적 1982
[150] 서적 1982
[151] 서적 2009
[152] 서적 2009
[153] 서적 1983
[154] 간행물 1992-01
[155] 서적 Press and Politics in the Weimar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6] 서적 2009
[157] 서적 1967
[158] 서적 1967
[159] 서적 2009
[160] 서적 1977
[161] 서적 1977
[162] 간행물 1992-01
[163] 서적 1977
[164] 서적 1998
[165] 간행물 1992-01
[166] 서적 2009
[167] 서적 1977
[168] 서적 1977
[169] 서적 1977
[170] 서적 2009
[171] 서적 2009
[172] 서적 1998
[173] 서적 1998
[174] 간행물 1992-01
[175] 간행물 1992-01
[176] 서적 2003
[177] 간행물 1992-01
[178] 서적 2003
[179] 서적 2003
[180] 간행물 1992-01
[181] 간행물 1992-01
[182] 서적 2003
[183] 서적 2003
[184] 서적 2003
[185] 서적 2003
[186] 간행물 1992-01
[187] 서적 2003
[188] 서적 1960
[189] 서적 1998
[190] 서적 1998
[191] 서적 1977
[192] 서적 1977
[193]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New York: Penguin 2003
[194] 서적 2009
[195] 서적 1960
[196] 서적 1977
[197] 서적 1977
[198] 서적 1977
[199] 서적 2009
[200] 서적 2009
[201] 서적 The German Resistance and the Holocaust Bern: Peter Lang 2004
[202] 서적 1977
[203] 서적 1977
[204] 서적 1977
[205] 서적 1977
[206] 서적 1977
[207]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the Third Reich London: Batsford 1973
[208] 서적 2009
[209] 서적 1977
[210] 서적 2009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The Origins of Christian Democracy: Politics and Confession in Modern German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0] 서적 Weimarer Nationalprotestanten in der Gründergeneration der CDU und FDP Oldenbourg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문서 de:Johann Friedrich Winckler (Politiker)
[226] 문서 Alliance with Der Stahlhelm and Agricultural League
[227] 서적 Fascism: A History Pimlico
[228] 서적 'The Far-Right in Germany since 1945' Longman
[229] 서적
[230] 서적
[231] 문서 「ドイツ国家人民党」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32] 웹사이트 Die Deutschnationale Volkspartei (DNVP) https://www.dhm.de/l[...] 2018-07-02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The Fateful Alliance Berghahn Books
[242] 서적 The Fateful Alliance Berghahn Books
[243] 간행물 와이마르 헌법 하에 있어서의 선거 제도의 역사적 고찰 http://id.nii.ac.jp/[...] 중경대학교양부 2021-08-20
[244] 문서 알프레트 후겐브르크의 언론조직은 독일 국가인민당의 사실상 당보 역할을 하였으며,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의 언론 조직에 의해 지원받았다
[245] 서적 Europe Between the Wars: A Political History Pearson Education
[246] 서적 Genozid: Völkermord im 20. Jahrhundert : Geschichte, Theorien, Kontroversen C. H. Beck 2006
[247] 서적 Witness to the German Revolution Haymarket Books 2011
[248] 서적 Comparing Liberal Democracie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and the European Union iUniverse 2011
[249] 서적 The Decline of the German Mandarins: The German Academic Community, 1890-1933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90
[250] 서적 Weimar Germany: Promise and Tragedy Princeton University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